김프봇: 진입설정 가이드
김프봇: 진입설정 가이드 예를 통해서 수익 구조 자세히 알아보기 예를 들어, 위이미지에서 설정한 것 처럼 비트코인 가격 차이(김프)가 6%일 때 시작해서 7%에서 거래를 마치면, 처음 봤을 때는 1%의 수익이 난 것처럼 보여. 하지만 실제로는 여기서 수수료가 나가. 우리가 쓰는 거래소, 예를 들어 업비트 같은 곳에서는 거래가 이뤄질 때마다 거래 금액의 0.05%를 수수료로 가져가. 업비트 0.05프로 보기 그래서 거래할 때마다, 한국이든 미국이든, 수수료가 약 0.2% 정도 들어가는 걸 감안해야 해. 여기에 더해, 비트코인 가격이 너무 빠르게 변해서 우리가 원하는 가격에 정확히 거래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, 이런 걸 '슬리피지'라고 해. 이 모든 것을 고려하면 실제로 거래할 때 드는 비용이 대략 0.4% 정도라고 볼 수 있어. 그래서 내가 생각하기에는, 최소한의 김프 수익 간격을 0.6으로 잡는게 좋아 즉, 김프가 5%일 때 시작해서 5.6%에서 거래를 마치는 게 좋아 보여. 이렇게 작은 차이로 빠르게 거래하면서 수익을 내는 게 더 안전하고 확률이 높을수도 있어. 물론 시장의 상황에따라 당연히 결과는 알 수 없지 내가 사용중인 김프봇 프로그램에서는 위처럼 그래프를 보여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측정된 김프값이고 프로그램을 끄면 김프값 저장은 안된다고 해 그러니 꼭 프로그램을 항상 돌려두길 바래 지금은 김프가 5.4%에서 6.8% 사이를 왔다갔다 하니까, 5.5%에서 시작해서 6.4%에서 마치는 게 좋을 것 같아. 옛날에는 사람들이 큰 차이(4%에서 7% 사이)를 노리곤 했었는데, 지금은 조금씩 자주 거래해서 작은 수익을 모으는 게 대세가 된 듯해. 큰 수익을 기다리는 것보다 이런 식으로 자주 거래해서...